병원 실비보험 얼마부터 청구 가능한가요?

 

병원 실비보험 얼마부터 청구 가능한지 궁금한 적이 있을 텐데요. 소액 청구도 가능한지 아니면 일정 금액 이상이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실손보험의 세대별 청구 가능 금액과 그 기준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의사-장갑



1세대 실비보험 얼마부터 청구 가능할까?

1세대 실손보험에 가입한 사람이라면 축복받은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1세대 실비보험은 전설의 보험이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입원비

입원비는 청구 금액에 제한이 없습니다. 입원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본인이 부담한 의료비 전액이 청구 가능합니다.

보험-약관

통원비

통원비의 경우에는 5,000원 이상부터 청구가 가능합니다. 즉, 병원비로 본인 부담금이 5,000원만 넘으면 실비 청구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4세대 실비보험이 저렴하긴 해도, 보상 측면에서보면 1세대 실비보험 만한 것이 없습니다.


1세대 실비보험 특징

1세대 실손보험은 2009년 10월 이전에 가입자에 해당합니다. 

  • 통원치료비, 입원비, 약제비 등을 실제로 지출한 금액 기준으로 보장
  • 자기부담금 없거나 최소 수준
  • 가장 넓은 보장 범위를 제공하며, 자기부담금 비율이 낮거나 없는 형태
  • 본인 부담한 의료비 전액 청구 가능(비급여 포함)

2세대 실비보험 얼마부터 청구 가능할까?

2세대 실비보험은 1세대 만큼은 아니더라도 넓은 범위의 진료비 지원이 되고 있습니다. 단, 2세대 부터는 자기부담금이 조금씩 추가됩니다.


입원비

청구 금액에 제한이 없습니다. 입원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본인이 부담한 의료비 전액이 청구 가능합니다.

통원비

본인부담금이 최소 10,000원을 초과해야 청구가 가능합니다. 병원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 의원급 : 10,000원 초과 시 청구 가능
  • 병원급 : 15,000원 초과 시 청구 가능
  • 종합병원급 : 20,000원 초과 시 청구 가능

동네 의원급 병원에서 본인 부담금이 8,000원이 나왔다면 청구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12,000원이 나왔다면 청구가 가능합니다. 

2세대 실비보험 특징

2세대 실비보험은 2009년 10월부터 2017년 3월 가입자에 해당합니다.

  • 1세대와 유사하나 자기부담금이 추가됩니다.
  • 자기부담금은 급여 10% 비급여 20% 수준입니다.
  • 보험료는 1세대에 비해 조금 더 저렴합니다.
  • 의료비에서 자기부담금을 제외한 금액 청구 가능합니다.


3세대 실비보험 얼마부터 청구 가능할까?

3세대 실비보험부터는 청구 기준이 두배 높아집니다. 또한 고액 비급여 항목에 대한 제한도 생겼기 때문에 병원 진료를 받기 전에 청구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입원비

청구 금액에 제한이 없습니다. 입원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본인이 부담한 의료비 전액이 청구 가능합니다. 단, 고액 비급여 항목에 대해선 연간 한도 제한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통원비

본인부담금이 최소 20,000원을 초과해야 청구가 가능합니다. 병원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 의원급 : 20,000원 초과 시 청구 가능
  • 병원급 : 25,000원 초과 시 청구 가능
  • 종합병원급 : 30,000원 초과 시 청구 가능

3세대부터는 2만원 미만의 통원 치료비는 청구가 어렵습니다. 단순 감기 및 가벼운 통증으로는 실비 청구를 기대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3세대 실비보험 특징

3세대 실손보험은 2017년 4월부터 2021년 6월 가입자에 해당합니다.

  • 급여와 비급여를 구분하여 자기부담금 차등 적용
  • 자기부담금 : 급여 10% 비급여 20% 수준
  • 도수치료, 비급여 주사제, MRI 등 고액 비급여 항목에 별도 한도 설정
  • 일부 항목 연간 한도 제한
  • 특정 비급여 항목은 한도 내에서만 청구 가능


4세대 실비보험 얼마부터 청구 가능할까?

4세대 실비보험은 3세대와 비슷한 면이 있는데, 비급여 청구액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화하는 구조를 도입했습니다.

입원비

청구 금액에 제한이 없습니다. 다만 자기부담금이 급여 20%, 비급여 30%가 발생합니다.

통원비

본인부담금이 최소 20,000원을 초과해야 청구가 가능합니다. 병원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통원비는 1회 20만원 한도로 보장됩니다.

  • 의원급 : 20,000원 초과 시 청구 가능
  • 병원급 : 25,000원 초과 시 청구 가능
  • 종합병원급 : 30,000원 초과 시 청구 가능

4세대 실손보험은 비급여 항목에 청구 금액이 많아지면 다음 해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4세대 실비보험 특징

4세대 실손보험은 2021년 7월 이후 가입자에 해당합니다.

  • 급여와 비급여 항목을 분리하여 보장
  • 자기부담금 : 급여 20% 비급여 30% 
  • 비급여 이용량에 따라 보험료 차등화
  • 자기부담금이 가장 높음
  • 보험료가 저렴하지만 비급여 사용량이 많은 경우 다음 해 보험료 인상 가능


세대별 실비보험 청구 기준

실비보험-청구기준-금액-표

실비보험 청구 Tip

  1. 소액 의료비는 모아서 청구할 수 있습니다. 같은 질병을 치료한 경우에는 한 번에 모아서 청구하면 됩니다. 한 건 기준으로 청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더라도 여러건을 모아서 청구한 경우 청구 금액을 초과하면 청구가 가능합니다.
  2. 약제비도 청구가 가능합니다. 병원 진료 후 약국에서 처방받은 약제비도 통원비와 동일한 공제금액 기준으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실손보험은 청구 기준이 세대별로 다르고, 자기부담금 역시 달라집니다. 따라서 이를 잘 확인한 후에 청구하는 것이 필요한데요.

소액 진료비일수록 청구 기준 금액을 잘 염두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실비보험 얼마부터 청구 가능한지 잘 확인하여 보험료 청구 시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